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UEFA 계수

덤프버전 :

1. 개요
2. 클럽 계수
2.1. 산정 방식
2.1.1. 예시
2.2. 현재 랭킹
2.3. 역대 1위
2.3.1. 통산 기록
2.4. 의의
3. 리그 계수
3.1. 산정 방식
3.2. 현재 랭킹
3.3. 역대 1위
3.3.1. 통산 기록
3.4. 의의


1. 개요[편집]


UEFA가 최근 5시즌 간의 유럽 대항전 성적[1]을 기반으로 매기는 랭킹.[2] 이 랭킹을 기반으로 시드 배정과 유럽 대항전 티켓 배분을 결정한다. 이 문서엔 남자 축구만 서술돼있지만, 여자 축구도 동일한 방식으로 랭킹을 매긴다.

2. 클럽 계수[편집]



2.1. 산정 방식[편집]


산정 조건 (2021-22시즌)UCLUELUECL
예선 탈락1차 예선-[3]x1
2차 예선-[4]x1.5
3차 예선-[5]-[6]2
플레이오프-[7]-[8]2.5
본선 진출시 최소 보장 포인트[9]-32.5
본선[10]222
111
조별리그 진출4--
조별리그 순위1위-42
2위-21
16강 진출111
준준결승[11] 진출111
준결승[12] 진출111
결승 진출111

  • 본선 진출시 조별리그 시드 배정에 이용된다.

  • 유럽 대항전 예선 진출조차 실패할 경우 아예 포인트를 받을 수 없어 5년간 포인트 손실이 막심하다. 따라서 꾸준히 유럽 대항전에 진출해 포인트를 쌓는 게 중요하다.

  • 이론상 단일 시즌에 확보할 수 있는 최대 포인트는 UEFA 챔피언스 리그전승 우승할 경우 얻는 38포인트다.[13]

  • 기준이 되는 5시즌 중 유럽 대항전에 진출한 클럽은 위의 방식으로 얻은 포인트와 별개로 기본적으로 소속 리그의 평균 포인트가 보장된다.[14]

2.1.1. 예시[편집]


  •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진출해 토너먼트에 진출한 경우
    • 18-19 시즌 우승팀 리버풀은 조별리그 3승 3패, 토너먼트 5승 1무 1패를 기록해 8승 1무 4패로 17포인트를 획득하고, 추가로 12포인트[15]를 지급받아 29포인트를 확보했다.
    • 준우승팀 토트넘은 조별리그 2승 2무 2패, 토너먼트 4승 3패를 기록해 6승 2무 5패로 14포인트를 획득, 추가로 12포인트를 받아 26포인트를 확보했다.
    • 당시 4강 탈락 팀인 바르셀로나는 결승을 못 치르고 추가 포인트 1포인트까지 덜 받았음에도 조별리그 4승 2무 선전으로 30포인트를 획득해 우승팀 리버풀보다도 많은 포인트를 받았다.

  •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위로 UEFA 유로파 리그로 향한 경우
    • 17-18 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조 3위로 탈락한 후 유로파 리그 32강에 진출해 유로파 리그 우승을 차지, 챔스 본선 진출 4포인트, 유로파 결승 진출 3포인트로 얻은 7포인트에 승점으로 얻은 21포인트가 더해져 28포인트를 확보했다.

  • UEFA 유로파 리그 조별리그에 참여한 경우
    • 18-19 시즌 우승팀 첼시는 조별리그 5승 1무, 토너먼트 7승 2무로 12승 3무로 27포인트를 획득, 결승 진출에 따른 3포인트를 추가로 지급받아 30포인트를 확보했다.

2.2. 현재 랭킹[편집]


  • 2023년 10월 17일 기준[16]#
2004~2023년의 Top15 클럽은 아래 영상과 같다.


2.3. 역대 1위[편집]


기간국가클럽포인트
1955-1960레알 마드리드 CF9.856
1956-1961레알 마드리드 CF8.499
1957-1962레알 마드리드 CF8.356
1958-1963레알 마드리드 CF6.856
1959-1964FC 바르셀로나7.382
1960-1965SL 벤피카8.455
1961-1966SL 벤피카7.788
1962-1967레알 사라고사7.691
1963-1968레알 마드리드 CF7.345
1964-1969SL 벤피카7.415
1965-1970리즈 유나이티드 FC8.033
1966-1971리즈 유나이티드 FC8.183
1967-1972리즈 유나이티드 FC7.583
1968-1973AFC 아약스8.985
1969-1974AFC 아약스8.430
1970-1975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8.500
1971-1976FC 바이에른 뮌헨8.609
1972-1977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8.694
1973-1978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8.319
1974-1979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8.402
1975-1980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7.985
1976-1981FC 바르셀로나7.652
1977-1982FC 바르셀로나7.832
1978-1983FC 바르셀로나7.998
1979-1984리버풀 FC8.277
1980-1985리버풀 FC9.054
1981-1986RSC 안데를레흐트7.915
유벤투스 FC7.915
1982-1987유벤투스 FC8.665
1983-1988유벤투스 FC8.388
1984-1989FC 바이에른 뮌헨7.846
1985-1990FC 바이에른 뮌헨8.096
1986-1991유벤투스 FC8.291
1987-1992레알 마드리드 CF7.975
1988-1993레알 마드리드 CF7.850
1989-1994레알 마드리드 CF7.600
1990-1995레알 마드리드 CF7.266
1991-1996AFC 아약스9.124
1992-1997유벤투스 FC8.719
1993-1998파리 생제르맹 FC8.716
1994-1999유벤투스 FC121.606
1995-2000유벤투스 FC109.963
1996-2001레알 마드리드 CF114.605
1997-2002레알 마드리드 CF147.233
1998-2003레알 마드리드 CF151.769
1999-2004레알 마드리드 CF146.350
2000-2005레알 마드리드 CF131.326
2001-2006AC 밀란129.020
2002-2007AC 밀란133.808
2003-2008첼시 FC124.996
2004-2009FC 바르셀로나121.853
2005-2010FC 바르셀로나136.951
2006-2011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151.157
2007-2012FC 바르셀로나157.837
2008-2013FC 바르셀로나157.605
2009-2014레알 마드리드 CF161.542
2010-2015레알 마드리드 CF171.999
2011-2016레알 마드리드 CF176.142
2012-2017레알 마드리드 CF176.999
2013-2018레알 마드리드 CF162.000
2014-2019레알 마드리드 CF146.000
2015-2020FC 바이에른 뮌헨136.000
2016-2021FC 바이에른 뮌헨134.000
2017-2022FC 바이에른 뮌헨138.000
2018-2023맨체스터 시티 FC145.000

2.3.1. 통산 기록[편집]



2.4. 의의[편집]


UEFA 챔피언스 리그, UEFA 유로파 리그,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포트 배정의 근거이고, 2025년부터 FIFA 클럽 월드컵 진출 기준이 될 예정이다.

UCL 톱 시드는 챔피언스 리그, 유로파 리그 우승팀과 1~6위 리그 우승팀에 부여되고, 2~4포트 배정은 참여 팀들 사이에 UEFA 클럽 랭킹 순으로 배분, 유로파 리그는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 팀을 톱 시드에 우선 배정한 후 참여 팀들을 랭킹 순으로 정렬해 포트 배정을 한다.

3. 리그 계수[편집]



3.1. 산정 방식[편집]


유럽 대항전에 참가한 팀들이 얻은 점수의 평균을 계산해 매긴다.[17]
산정 조건 (2021-22시즌)UCLUELUECL
예선[18][19]111
0.50.50.5
본선[20]222
111
조별리그 진출4--
조별리그 순위1위442
2위421
16강 진출111
준준결승[21] 진출111
준결승[22] 진출111
결승 진출111
코로나 이후 재개된 일정이나 국제대회 관련 일정 등의 사정으로 본선 경기가 단판으로 실시될 시의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.[23]
321

3.2. 현재 랭킹[편집]


  • 2023년 10월 28일 기준[24]#
순위변동국가리그포인트2023-242022-232021-222020-212019-20UCLUELUECL
1프리미어 리그93.1786.25023.00021.00024.35718.571421
2라리가79.6146.18716.57118.42819.50018.928
3 1세리에 A75.8556.57122.35715.71416.28514.928
4 1분데스리가73.6246.35717.12516.21415.21418.714
5 1에레디비시57.1005.80013.50019.2009.2009.4003
6 1리그 156.3315.75012.58318.4167.91611.66612
7프리메이라 리가49.8164.50012.50012.9169.60010.3002
8벨기에 프로 리그41.8007.40014.2006.6006.0007.600
9 3쉬페르리그35.3508.75011.8006.7003.1005.000
10 1스코티시 프리미어십32.6503.0003.5007.9008.5009.750
11 1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31.0003.2004.90010.4006.7005.800
12 1스위스 슈퍼 리그30.7753.0008.5007.7505.1256.400
13 21. 체스카 포트발로바 리가28.3005.7506.7506.7006.6002.500
14 3덴마크 수페르리가28.2005.2505.9007.8004.1255.125
15 1엘리테세리엔27.8704.2505.7507.6256.5003.750
  • 리그 협회별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 티켓수는 최근 5개 시즌 유럽대항전 성적을 수치화한 국가별 리그 계수[25]로 매겨지는 리그협회 순위에 따라 차등 부여된다. 1~4위는 4개 팀, 5~6위는 3개 팀, 7~15위는 2개 팀, 16위 이하는 1개 팀을 내보낼 수 있다.

  • 다만 UEFA 원칙에 따라 23-24시즌 리그 협회별 챔스 진출권 티켓수는 최근 5개 시즌 (17-18~21-22) 유럽대항전 성적을 반영한 UEFA 2021/22 리그협회 순위로 정해진다. 따라서 24-25시즌 리그 협회별 챔스 진출권 티켓수는 UEFA 2022-23 리그협회 순위로 정해지는 것이다.

3.3. 역대 1위[편집]


기간국가리그포인트
1955-1960라리가70.833
1956-1961라리가68.333
1957-1962라리가71.933
1958-1963라리가68.433
1959-1964라리가66.833
1960-1965라리가52.333
1961-1966라리가53.333
1962-1967풋볼 리그45.482
1963-1968풋볼 리그49.016
1964-1969풋볼 리그53.701
1965-1970풋볼 리그51.951
1966-1971풋볼 리그51.660
1967-1972풋볼 리그53.431
1968-1973풋볼 리그53.231
1969-1974풋볼 리그54.279
1970-1975풋볼 리그47.779
1971-1976분데스리가48.950
1972-1977분데스리가51.902
1973-1978분데스리가48.783
1974-1979분데스리가52.617
1975-1980분데스리가53.998
1976-1981분데스리가52.284
1977-1982분데스리가51.999
1978-1983분데스리가54.118
1979-1984분데스리가43.618
1980-1985풋볼 리그41.093
1981-1986세리에 A39.466
1982-1987세리에 A41.716
1983-1988세리에 A41.082
1984-1989세리에 A42.498
1985-1990분데스리가45.427
1986-1991세리에 A48.171
1987-1992세리에 A52.837
1988-1993세리에 A60.337
1989-1994세리에 A62.313
1990-1995세리에 A63.884
1991-1996세리에 A61.259
1992-1997세리에 A60.735
1993-1998세리에 A59.640
1994-1999세리에 A57.212
1995-2000라리가59.599
1996-2001라리가65.210
1997-2002라리가68.467
1998-2003라리가75.539
1999-2004라리가79.851
2000-2005라리가73.717
2001-2006라리가72.748
2002-2007라리가76.891
2003-2008프리미어 리그75.749
2004-2009프리미어 리그79.499
2005-2010프리미어 리그81.856
2006-2011프리미어 리그85.785
2007-2012프리미어 리그84.410
2008-2013라리가88.025
2009-2014라리가97.713
2010-2015라리가99.999
2011-2016라리가105.713
2012-2017라리가104.998
2013-2018라리가106.998
2014-2019라리가103.569
2015-2020라리가102.283
2016-2021프리미어 리그100.569
2017-2022프리미어 리그106.641
2018-2023프리미어 리그109.570

3.3.1. 통산 기록[편집]


1997~2023년의 Top15 리그는 아래 영상과 같다.


3.4. 의의[편집]


유럽 대항전 진출 티켓 배정에 이용된다.

현재 UEFA는 1~4위 리그에 UCL 티켓 4장을, 5~6위 리그에 3장을[26], 7~15위 리그에 2장을[27], 16위 이하 리그엔 1장을 배분하고 있다.

단 클럽 랭킹과는 달리 지난 시즌 종료 기준 랭킹을 이용한다. 가령 20-21 시즌 유럽 대항전 티켓은 18-19 시즌 랭킹으로 배정되고, 위 랭킹은 24-25 시즌 유럽 대항전 티켓 배정에 이용된다.


[1] 가령 18-19 시즌 랭킹은 14-15 시즌부터 18-19 시즌까지 5시즌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매기고, 19-20 시즌 랭킹은 14-15 시즌대신 19-20 시즌의 포인트를 더해 15-16 시즌부터 19-20 시즌까지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매긴다.[2] 자국 리그, 컵 대회 성적은 반영되지 않는다.[3] 탈락시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 진출[4] 탈락시 유로파리그 3차 예선 진출[5] 탈락시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진출[6] 탈락시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[7] 탈락시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진출[8] 탈락시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리그 진출[9] 본선에서 전패하는 것이 예선에서 탈락하는 것보다 손해인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포인트[10] 경기마다 포인트 산정[11] 8강[12] 4강[13] 13경기 승리로 26포인트+챔스 본선 진출 4포인트, 챔스 16강 진출 5포인트+챔스 결승 진출 3포인트=38포인트[14] 가령 에스파뇰은 18-19 시즌 리그 7위로 유로파 리그에 진출해 현재 확보한 포인트는 10포인트지만 라리가 평균 포인트인 19.885포인트를 확보해 같은 상황인 헤타페와 함께 공동 76위를 기록하고 있다.[15] 본선 진출 4포인트+16강 진출 5포인트+결승 진출 3포인트[16] Top20 클럽만 기재됐다. 클럽 열의 볼드체는 UEFA 영예의 배지를 수상한 클럽, 포인트 열의 볼드체는 해당 랭킹의 기준이 된 5시즌 중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이다.[17] 소수점은 셋째 자리까지 계산한다.[18] 1차 예선부터 플레이오프까지 모든 경기[19] 경기마다 포인트 산정[20] 경기마다 포인트 산정[21] 8강[22] 4강[23] 연장전 결과는 반영, 승부차기 결과는 미반영된다.[24] Top10 리그만 기재됐고, 포인트 열의 볼드체는 그 시즌의 리그 계수 1위다.[25] country coefficients[26] 1~2위 팀은 본선 직행, 3위 팀은 3차 예선부터 참여한다. 단 5위 리그의 경우 유로파 우승팀이 자력으로 챔스 티켓 확보 시 3위 팀도 본선에 직행한다.[27] 7~10위 팀까지만 본선 직행 티켓 1장이 부여된다. 단 UCL 우승팀이 자력으로 챔스 티켓 확보 시 11위 리그 우승팀에도 본선 직행 티켓이 부여된다.